1. 냄새의 정의 : 냄새란 냄새원으로부터 공중에 확산한 냄새입자가 공기와 함께 코의 구멍에 들어가 그 최상부에 있는 후점막의 표면에 이르면, 거기에 있는 감각세포를 자극한다. 냄새 입자가 갖는 화학정보는 후세포에서 전기적 정보로 변환되어 후신경에 자극을 발생시켜 우리에게 갖가지 냄새로 인식되게 된다. 우리들이 느끼는 나쁜 냄새로 느끼는 냄새로는 크게 4가지 종류가 있다
- 암모니아 : 화장실, 외양간의 자극적인 냄새
- 트리에틸아민 : 생선의 부패 악취
- 황화수소 : 달걀의 부패 악취나 온천의 냄새 등
- 메르캅탄 : 야채의 부패 악취 등
2. 탈취의 방법 : 탈취의 방법은 크게 4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 물리적 탈취 방법 ; 냉장고용 탈취제와 같이 활성탄 등을 사용하고 악취 성분을 흡착하는 방법
- 감각적 탈취 방법 : 악취 성분을 감싸버리는 방법이나 다른 냄새로 상계하는 방법
- 미생물 탈취 방법 : 악취 물질과 미생물의 분해성능을 이용 무취의 화합물로 바꾸는 방법
- 화학적 탈취 방법 : 악취의 물질과 화학반응에 의해 무취의 화합물로 바꾸는 방법
3. 물리 화학적 탈취 원리 : 기능성 도료의 탈취원리는 산화아연(ZnO2) 안료의 촉매 작용으로 인한 분해/흡착 반응으로 암모니아, 아세트 알데히드, 담배 냄새는 촉매에 의한 분해, 황화 수소는 흡착에 의한 제거이다. 또한 안료와 수지의 PVC에 따라 PVC가 높을 수록 소취 성능이 향상되는 경향성을 보인다
- 암모니아 → 질소 + 물
- 황화수소 → 황화하연 + 물
'기술 >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폐윤활유 재생시장 (0) | 2010.04.02 |
---|---|
메모리, 비메모리 통합 세계 10대 반도체 업체 (0) | 2010.02.16 |
티타늄합금제품 제조공정도 (0) | 2009.10.16 |
티타늄 합금분말 가공 (0) | 2009.10.14 |
CTL (0) | 2009.10.12 |